요약합시다.

2020. 3. 10. 19:59 from 일상 이야기

1장에서는 지구 대기를 개괄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지구 대기는 대부분 질소와 산소, 그리고 수증기, 이산화탄소,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는 온실가스 등 소량의 다른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의 초기 대기를 검토한 결과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와 아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지구 대기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졌고 태양의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성층권 오존은 염화불화탄소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구 대기권 중 가장 추운 곳은 중간권, 가장 더운 곳은 열권이며, 우리가 알게 된 모든 기상현상은 대류권에 존재한다.

 

고층대기에 있는 이온권에는 이온과 자유전자가 다량 분포되어 있다. 일기도와 위성사진을 살펴본 결과 대기권 전역에 걸쳐 각종 규모와 형상의 폭풍우와 구름이 산재해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폭풍우와 구름, 그리고 대기 그 자체의 역동적 특성으로 다양한 기상현상이 일어난다. 장기간의 기상과 기상극값의 평균을 기후라고 하며, 기상은 순간적으로 변할 수 있으나 기후변화는 오랜 시간 걸쳐 서서히 나타난다.

 

대기와 그 관련 현상에 관한 학문을 기상학이라 하며, 그 기원은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지막으로 기상과 기후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분이 좋아지는 날씨  (0) 2020.03.15
찬란한 빛의 향연  (0) 2020.03.13
경쟁은 과연 나쁜 것일까?  (0) 2020.03.05
우리는 끊임없이 상호 의존 관계를 맺는다.  (0) 2020.03.03
방법론을 고민한다.  (0) 2020.02.29
Posted by SonbadakYun :